티스토리 뷰

728x90
SMALL


오늘은 최근 큰 이슈가 된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재산 분할 판결과 관련된 이야기를 나눠보려고 합니다. 최 회장은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에게 재산 분할로 약 1조3800억원을 지급해야 한다는 서울고등법원의 항소심 결과가 나오면서 SK그룹에도 큰 충격이 가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최 회장이 어떻게 이 거액의 현금을 마련할 것인지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최태원 회장의 SK 주식회사 지분 현황


최태원 회장은 현재 SK㈜의 지분 17.73%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지분은 SK그룹 지배구조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SK㈜는 SK텔레콤, SK이노베이션, SK스퀘어 등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 회사들은 그룹 내 핵심 계열사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특히, SK하이닉스는 SK스퀘어의 자회사로, 반도체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지분 매각의 위험성

이번 판결로 인해 최 회장은 현금 1조3800억원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습니다. 하지만 SK㈜의 지분을 매각하게 되면 그룹 지배력이 약해질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현재 최 회장과 특수관계인의 지분은 25.57%에 불과해 외부로부터 경영권 공격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박주근 리더스인덱스 대표는 "최태원 회장의 그룹 지배력은 지금도 튼튼하지 않다. 최대한 SK㈜ 지분은 건드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최 회장의 현금 마련 방법

최 회장이 현금을 마련할 방법으로는 주식담보대출, 비상장 지분 처분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최 회장은 이미 SK㈜ 주식의 상당 부분을 담보로 설정해 놓은 상태입니다. 따라서 주식담보대출로 1조원이 넘는 금액을 마련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비상장사 지분 처분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최 회장이 보유한 비상장사 SK실트론 지분(29.4%)이 이에 해당됩니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최태원 회장이 SK㈜ 지분을 지키기 위해 SK실트론 등 비상장사 지분을 처분하는 방안도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SK실트론 지분은 인수 과정에서 사익 편취 의혹이 있어 논란이 있었던 주식입니다.

이 외에도 최 회장은 SK케미칼, SK디스커버리, SK텔레콤, SK스퀘어 등의 계열사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 지분을 매각하더라도 필요한 현금을 모두 마련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대법원 상고와 향후 전망


최 회장은 대법원 상고를 통해 시간을 벌 계획입니다. 최 회장의 변호인단은 "원고는 상고를 통해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을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를 통해 판결이 확정되기까지 시간을 확보하고, 그 사이에 자금을 마련할 방법을 모색할 것으로 보입니다.

SK그룹의 재무 상황


SK그룹은 최근 2차전지 등 신사업 확장으로 재무적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SK온 등 계열사의 재무 구조 악화로 사업 재편이 시급한 상황에서 총수의 사생활 문제가 겹치면서 그룹 전체가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SK그룹의 총 차입금 규모는 2019년 61조원대에서 2023년 117조원대로 급증한 상태입니다.

결론
이번 판결로 인해 최태원 회장은 큰 재정적 부담을 안게 되었고, SK그룹도 이에 따른 경영 리스크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최 회장이 어떻게 자금을 마련하고, 그룹 경영권을 지켜나갈지 주목됩니다. SK그룹의 향후 행보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728x90
LIST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