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GTX - A B C D 노선 및 현황
GTX-A 노선은 수도권의 교통 혼잡을 완화하고 통근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설계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노선이다. 파주 운정에서 서울을 거쳐 삼성역, 수서역을 지나 화성 동탄까지 연결되며, 총 길이는 약 83.1km이다.
시속 180km의 고속 운행이 가능해 수도권을 더욱 빠르게 연결하는 것이 특징이다. GTX-A 노선은 기존 철도와의 환승 체계를 통해 대중교통 이용의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수도권 주요 거점 간 이동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GTX-A 노선은 현재 단계별 개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 중이다. 2024년 상반기에는 수서에서 동탄 구간이 우선 개통되었으며, 하반기에는 운정에서 서울역 구간이 개통될 예정이다. 전체 노선은 2028년에 전면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GTX-A 노선이 완공되면 파주 운정에서 동탄까지 약 43분에 이동이 가능하며, 서울 주요 지점인 서울역, 삼성역 등을 거쳐 강남권과 연결되는 교통망을 구축하게 된다
이와 함께, GTX-A는 180km/h의 고속으로 운행되며, 수도권 내의 주요 환승 지점과의 연결성을 높여 수도권 통근자들의 이동 시간을 대폭 단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서울 내 추가 역 설치 및 환경영향 문제 등이 남아 있어 일부 구간은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
GTX-B 노선은 수도권 동서를 신속하게 연결하기 위해 계획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노선이다. 이 노선은 인천 송도에서 시작하여 서울역, 청량리, 남양주 마석까지 이어지며 총 길이는 약 80.1km이다. GTX-B 노선의 설계 최고 속도는 시속 180km로, 동서 간 이동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여 수도권 주요 거점 간 접근성을 크게 개선할 예정이다. 또한, 서울 도심의 혼잡을 줄이고 인천 및 경기 동부 지역 주민들의 출퇴근 시간을 단축해 수도권 전반의 교통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GTX-B 노선은 인천 송도에서 서울 도심을 거쳐 경기 남양주 마석까지 연결하는 80km의 노선으로 계획되었다. 2024년 하반기 착공이 목표이며, 2030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GTX-B 노선이 완공되면 인천대입구에서 여의도까지 약 15분, 서울역까지는 21분 만에 도달할 수 있어 기존 대비 이동 시간이 대폭 단축될 전망이다
또한, GTX-B 노선은 경기 북부에서 강원도 춘천까지 연장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 구간은 경제성 평가를 통과해 연장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이를 통해 수도권 동서를 연결하고 강원도 춘천까지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GTX-C 노선은 수도권 남북 축을 따라 광역 교통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광역급행철도 노선이다. 이 노선은 경기도 양주 덕정에서부터 시작해 의정부, 청량리, 서울역을 경유하여 금정, 과천, 수원을 거쳐 평택까지 연결되며, 총 연장은 약 74.8km이다.
시속 180km의 고속 운행이 가능하며, 특히 서울 도심과 경기 남부, 북부를 신속하게 잇는 역할을 한다. GTX-C 노선은 기존 철도망과의 환승 연결을 통해 대중교통 편의성을 높이며, 수도권 주요 지점 간 이동 시간을 단축해 교통 체증을 완화하고, 수도권 남북 지역의 균형 발전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GTX-D 노선은 수도권 서남부 지역의 교통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키기 위해 계획된 광역급행철도 노선이다. 현재 이 노선은 인천의 검단과 청라에서 출발하여 서울 강남권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구상되어 있으며, 이후 경기 남부 지역인 하남까지 연장될 가능성도 검토 중이다.
GTX-D 노선은 수도권 서부의 교통 혼잡을 줄이고 인천과 경기 서남부 지역 주민들의 출퇴근 시간을 크게 단축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노선이 개통되면 기존 대중교통 대비 최대 절반 이상 이동 시간이 줄어들어 수도권 내 거주 지역의 선택 폭을 넓히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GTX-C 노선은 현재 착공이 시작되어 2028년 말 개통을 목표로 진행 중이다. 이 노선은 경기 북부의 덕정에서 출발해 서울의 주요 지역을 거쳐 남쪽의 수원까지 연결되며, 일부 구간은 기존 철도 노선을 활용하고, 창동에서 과천 구간은 전용 선로를 새로 건설 중이다. 덕정에서 삼성역까지는 약 29분, 수원에서 삼성까지는 27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GTX-C는 천안 아산까지 연장될 계획도 포함되어 있어 경기 남부와 충남 지역까지 광역급행철도의 접근성을 확장하고 있다. 다만, 자금 조달 문제로 착공 지연 가능성이 남아 있으며, 정부는 민간투자 활성화를 통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자금 문제가 해결된다면, 2028년 개통 목표 달성에 한층 가까워질 것으로 보인다
GTX-D 노선의 현재 상황은 경기도와 인천 서부를 서울 강남권과 하남, 여주까지 잇는 "Y자" 형태로 확정된 상태다. 이 노선은 인천공항과 김포에서 시작해 청라, 검단을 지나 서울 삼성역에 연결되며, 경기 동남부로 이어지는 구조를 가진다. 정부는 2035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올해 말까지 사업비와 세부 구간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이 노선이 개통되면, 인천과 김포 등 수도권 서부 지역에서 강남까지 이동 시간이 약 30분 이내로 단축될 전망이다. 또한, GTX-D와 유사한 Y자형인 GTX-E 노선도 인천에서 남양주까지 연결될 예정으로, 수도권의 출퇴근 시간과 접근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투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플러스 X 넷플릭스 멤버십 혜택! 알고 가야 할 체크포인트 (10) | 2024.11.05 |
---|---|
개인사업자 등록은 선택이 아닌 필수! 꼭 해야 하는 이유 (4) | 2024.11.02 |
독특한 암호화폐 파이코인 알아보기 (0) | 2024.10.27 |
재테크 환경에서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종합소득세 (12) | 2024.10.21 |
마이너스통장 제대로 알고 활용하는 방법 (6) | 2024.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