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핵전쟁 막으려 위성통신망 껐다 우크라전 개입설
스페이스X와 테슬라의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
우주기업 스페이스X를 이끄는 '억만장자' 일론 머스크가 지난해 우크라이나가 이용하는 스타링크 위성 인터넷을 일시 차단하는 방식으로 전쟁에 개입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이 핵전쟁으로 확산할 것을 우려해 조치를 취했다는 것입니다.
7일(현지시간) 미 CNN 방송은 곧 출간 예정인 작가 월터 아이작슨의 머스크 전기 내용 일부를 발췌해 이같이 보도한 후 "억만장자의 우크라이나 딜레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보여준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머스크는 지난해 러시아 해군 함대에 대한 우크라이나의 기습 공격을 방해하기 위해 엔지니어들에게 크림반도 해안 근처 스타링크 위성 통신망을 끄라고 비밀리에 지시했습니다. 아이작슨에 따르면 폭발물과 함께 온 우크라이나 잠수함 드론이 러시아 함대에 접근했을 때 통신이 끊겼고, 이에 잠수함 드론은 아무런 피해도 주지 못한 채 해변으로 떠내려갔습니다.
머스크의 이런 결정은 크림반도에 대한 우크라이나의 공격에 러시아가 핵무기로 대응할 것을 극도로 두려워했기 때문이라고 아이작슨은 설명했습니다. 머스크의 두려움은 러시아 고위 관리들과의 대화에서 촉발된 것이라고도 했습니다.
머스크와 스페이스X 위성 단말기 고민
머스크와 스페이스X는 이에 대한 CNN의 논평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다고 CNN은 보도했습니다. 머스크가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위성 단말기를 놓고 고민한 내용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머스크는 러시아가 지난해 2월 우크라이나를 본격적으로 침공하기 전 우크라이나의 통신 시스템을 망가뜨리자 우크라이나에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위성 단말기를 지원키로 했습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공격에 스타링크를 활용하자 머스크는 자기 결정을 되돌아봤다고 아이작슨은 설명했습니다.
아이작슨에 따르면 머스크는 "스타링크는 전쟁이나 드론 공격을 위해 만들어진 게 아니다. 사람들이 넷플릭스를 보고 학교 수업을 위해 온라인에 접속하는 등 평화로운 일에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것"이라고 했습니다. 머스크는 지난해 10월 트위터(엑스)에 글을 올려 "스페이스X는 지금껏 (우크라이나에 지원한)비용 회수를 요구하지 않고 있다. 그렇다고 지금 시스템에 무기한 자금을 지원할 수는 없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다음 날 다시 트위터에 "에라 모르겠다. 우크라이나 정부에 계속 무료로 지원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CNN은 "이런 에피소드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이어지면서 머스크가 처한 독특한 상황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의도와 상관없이 머스크는 미국 관리들이 무시할 수 없는 권력 브로커가 됐다"고 했습니다.
'투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전, 전기요금 안 올리면 내년 초 회사채 발행도 못 해 (1) | 2023.09.09 |
---|---|
주상복합 아파트 장단점 비교, 뜻 요약 정리 (0) | 2023.09.09 |
삼성, 차세대 '캐시 D램' 개발…패키징에만 2조 투자 고삐 (0) | 2023.09.07 |
주식 PER 계산하고 주식투자 공부 (0) | 2023.09.06 |
한국경제 성장 했지만 지출 감소 물가 상승 (0) | 2023.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