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아파트 취득세 계산기 편리하게 계산하기
아파트 취득세 계산기에 대해서 알아보려고요. 요즘 하루가 다르게 상승하는 주택 가격으로 인하여 집을 구매하는 일이 어렵게 느껴지고요. 또는 취득세와 같은 세금 등으로 인하여 무서워서 선뜻 보금자리를 마련하기 힘들다 라고 하시는 분들도 계시죠. 그만큼 세금은 집을 사는데 있어서 무시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주택 구입시 세금 납부
주택을 구입하게 되면 어느 정도의 비용을 세금으로 납부해야 하는지부터 알아 보도록 할게요. 취득세 표준세율의 경우에는 1%에서 3% 정도인데요.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바로 중과세율 입니다. 8%와 12%로 각각 중과가 될 수 있어요. 이밖에도 지방교육세와 농특세 등의 세도 있는데요. 이를 더하면 13.4%라는 높은 세금을 내야 할 수 있습니다.
주택세금 되도록 낮은 금액 내는 방법
꼼꼼하게 계산을 해서 되도록 낮은 금액을 납부할 수 있도록 고민해야 합니다. 누구든지 쉽게 이해를 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볼게요. 만약 비조정대상 지역 안에 위치해 있는 150m2 면적의 주택을 6억원에 구입을 했을 시를 가정해 살펴보면 1%의 취득세가 발생을 하며 이는 600만원이에요. 여기에 지방교육세와 농어총특별세까지 더하면 총 780만원의 금액을 내야합니다.
주택이 한채일 경우에는 간단하게 아파트 취득세 계산기를 이용하여 확인을 할 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2채를 소유하고 있을 때에는 어떤 결과가 나올지 살펴볼게요. 2채의 주택을 소유하고 있으며 비조정지역에 해당한다면 5억원의 110m2주택을 구매했을 시 중과세율이 8% 적용 됨에 따라서 5억원 곱하기 8%가 됩니다. 즉 4000만원이라는 금액이 산출되게 되지요.
아파트 취득세 계산기 활용하기
여기에 지방교육세 0.4%를 곱한 200만원과 농어촌특별세 0.6%를 곱해 나온 300만원을 합산하게 되면 4500만원을 총 납부합니다. 간단한 계산 방식만 알면 누구든지 쉽게 내야 하는 금액을 산출해 볼 수 있는데요. 하지만 숫자를 확인해야 하는 과정인만큼 보다 정확하게 체크를 할 수 있는 아파트 취득세 계산기를 활용해 보는 것도 좋답니다.
아파트 취득세 계산기는 위텍스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위텍스 사이트로 이동을 한 후에 지방세 정보 클릭 후 지방세 미리 계산하기 카테고리로 접속하면 바로 확인을 해 볼 수 있어요. 취등록 원인이 농지인지 농지가 아닌지 등을 클릭하고 난 후에 계약서 상에 표기되어 있는 매매 계약 일자와 전용 면적의 크기에 따라서 선택을 해야 하는 거래유형, 매매가액인 과세표준액 그리고 잔금이 지급 완료된 날짜인 취득일자, 조정대상지역 여부를 체크하고 난 후에 취득 주택을 포함해 몇채를 소유하고 있는지 기재를 하면 직접 계산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부동산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월세 특별지원 신청,지급일,무주택자 조건 알아보기 (0) | 2023.03.10 |
---|---|
안심전환대출 10일 간 2.2조원 접수 (0) | 2022.09.29 |
2022년 방송에 나온 전세 부동산 사기 (0) | 2022.09.28 |
최근 아파트 대출규제 강화로 수요 위축 (0) | 2022.09.09 |
기준금리 추가 인상에 잠 못 자는 영끌러 (0) | 2022.08.28 |